002년 12월 23일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인천 홍예문(虹霓門;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문)
은 응봉산 산허리를 잘라 높이 약 13m, 폭 약 7m의 화강암 석축을 쌓고 터널처럼 만든 석문(石門)이다.
대한제국 시대에 철도 건설을 담당했던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 준공하였다. 당시 인천 중앙동과 관동 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늘자 만석동 방면으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 홍예문을 뚫었는데 일본인들은
혈문(穴門)이라 불렀다. 공사를 진행할 때 예기치 못한 거대한 암석을 만나 공사 기간이 오래 걸렸다 한다. 당시 일본의 토목
공법을 알 수 있는 사료로서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자유공원 근처에 있는 홍예문은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인천의 명물이다. 홍예문을 통과하여 폭이 좁은 2차선
도로가 지나가며 홍예문 위쪽 길에 서면 인천항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하지만 사진에서 보는것처럼 차량과 사람이 동시에 드나드는 왕복 2차선 다리이므로 아이나 애완동물과 동행한다면
주의해야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포토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행궁... (0) | 2009.09.03 |
---|---|
차이나타운 소경... (1) | 2009.09.01 |
시화호에서... (0) | 2009.08.29 |
고잔역 해바라기... (0) | 2009.08.29 |
장안문... (1) | 2009.08.18 |
Response :
trackbacks,
comments.